반응형 Drama 드라마이야기/Netflix Wavve Tiving N OTT204 우먼 인 윈도-앞집을 함부로 훔쳐보지 마라 에이미 아담스 주연의 영화 가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다. 극장 개봉이 힘겨워진 팬데믹 시대에 넷플릭스 개봉 영화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 에이미 아담스, 게리 올드만, 줄리안 무어라는 쟁쟁한 배우들이 출연하는 미스터리 영화가 흥미롭게 다가왔다. 소아 정신과 의사인 애나 폭스(에이미 아담스)는 집에 거주 중이다. 광장 공포증으로 인해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있는 중이니 말이다. 애나는 지하실에 입주한 남자 데이비드(와이어트 러셀)와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정신과 의사가 그가 만나는 유일한 존재들이다. 항상 집에서 지내는 애나에게 고양이 폭스는 소중한 존재다. 그리고 별거 중인 남편 에드(안소니 마키)와 어린 딸과는 가끔 통화를 하는 사이다. 그런 애나에게 변화는 길 건너에 새로운 가족이 이사 온 것이다.. 2021. 5. 28. 승리호-한국형 SF 충분한 가능성 보여주었다 한국 영화가 이제는 SF물도 제대로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코로나19로 인해 극장 개봉을 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아쉬울 정도로 의 결과물은 좋았다. 만약 커다란 스크린으로 완벽하게 구현된 사운드로 감상했다면 감동은 더욱 컸을 것으로 보인다. 2월 5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는 흥미로웠다. 2092년을 배경으로 한 SF물을 과연 어떻게 만들지 궁금한 것도 사실이었다. CG 기술이 상당한 수준으로 올라섰다는 점에서 기대도 했지만, 아직 개척되지 않은 분야가 어떻게 구현될지 의아하기도 했으니 말이다. 우주 쓰레기를 청소하는 이들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세계관은 흥미로웠다. 지구는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며 더는 사람이 살기 어려운 행성이 되어갔다. 이런 상황에서 화성은 새로운 지구로 건설되었고, 위성처럼 지구 .. 2021. 2. 6. 믿을 수 없는 이야기-만연한 2차 가해, 진실을 왜곡하는 현실은 진행형 우리 사회에서 가장 도드라진 변화는 여성에 대한 관점이 변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여성들의 분노 때문만이 아니라 사회적 변화를 위한 요구들도 빗발치고 있는 중이다. 당연하게도 이런 변화를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이들도 여전히 많다. 지난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어 화제를 모았던 드라마 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과거보다는 조금은 달라졌지만, 여전히 많은 여성들은 성폭력 피해자로서 2차, 3차 가해를 당할 수밖에 없는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과거부터 지배하던 남성성은 이제 조금씩 옅어지고 있다. 사회를 이끌던 남성의 역할이 그만큼 사라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힘을 앞세운 남성의 가치보다는 보다 창의적인 사고가 우선시 되는 사회는 성별을 크게 나눌 이유가 없어졌다. 어린 소녀가 성폭행을 당했다. 그리고 경찰에.. 2020. 12. 28. 칼리프, 나는 무죄다-사법 체계가 억울한 희생자 만드는 방법 사법개혁은 국내만이 아니라 그 어느 나라도 쉽지 않다. 거대한 카르텔인 그들을 개혁시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더욱 법치주의를 외치는 나라들 중 제대로 된 사법개혁을 이루는 것은 쉽지 않다. 법 기술자들로 인해 법은 그렇게 농락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뉴욕 브롱크스는 가장 가난한 지역이기도 하다. 세계적인 도시라는 뉴욕의 가장 어두운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당연히 다양한 문제들이 불거질 수밖에 없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곳에서 벌어진 16살 소년의 이야기는 미국의 사법체계가 얼마나 엉망인지 잘 보여준다. 사법체계의 문제와 교도소, 인종차별 등 미국 사회가 안고 있는 온갖 문제들이 16살 소년 칼리프를 통해 잘 드러났다. 멕시코에서 일을 하기 위해 그곳을 찾은 형제에 의해서 모든 것은 시작되.. 2020. 12. 27. 스위트 홈-한국형 크리처물, 넷플릭스 새로운 가치를 선보였다 국내 플랫폼에서는 절대 받아줄 수 없는 작품이 나왔다. 웹툰 원작인 아 지난 11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총 10부작으로 준비된 이 작품은 이응복 감독이 탐냈다는 점에서 제작 과정에서부터 화제가 되었다. , , 으로 이어지는 김은숙 작가와의 제작을 마치고 이응복 감독은 가 아닌 을 선택했다.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크리쳐물이라는 점에서 과연 어떻게 표현이 가능할지 궁금한 부분들이 많았다. 그리고 이 감독은 선택은 옳았다. 300억대 제작비를 들인 이 작품은 10부작임을 생각해보면 저렴하게 작업을 했다. 아무래도 괴물이 자주 등장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세트 제작비와 CG 등을 생각해보면 기본 TV 드라마 제작비와 비교해도 결코 비싼 비용은 아니었다. 재개발을 앞둔 '그린홈'이라는 오래된 아파트로 한.. 2020. 12. 19. 콜-박신혜와 전종서 광기의 시간, 섬뜩함으로 채웠다 극장 개봉을 앞둔 영화가 넷플릭스로 향했다. 향후 이런 변화들은 많아질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 코로나19로 인해 극장가가 초토화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택지가 많지 않은 영화들이 향할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영화 은 국내보다는 해외 공포 영화와 유사한 분위기를 풍긴다. 배경이나 모든 것은 한국이지만, 언뜻 외국 영화에서 본것과 같은 스타일이 묻어난다. 물론 개인적인 취향의 차이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감독의 다음 작품이 기다려지는 영화였다. 서연(박신혜)은 어머니 병문안을 갔다 집으로 돌아왔다. 시골 마을에서 돋보이는 2층 집은 오늘따라 더 기묘함으로 다가왔다. 기차에서 휴대전화를 흘린 서연은 자신의 전화를 주운 자와 통화가 되었지만, 보상만 요구할 뿐 돌려줄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20. 11. 28. 이전 1 ··· 30 31 32 33 3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