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rama 드라마이야기/Korea Drama 한드

육룡이 나르샤 39화-유아인과 김명민의 권력 투쟁, 무명과 밀본의 대립

by 자이미 2016. 2. 16.
반응형

정도전이 전권을 잡으며 이방원의 수족들을 끊어내며 고립시키기 시작했다. 이방원의 최측근인 조영규와 무휼을 떼어놓고, 분이까지 끊어내려 한다. 고립을 통해 권력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 정도전이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조선 건국에 앞장선 육룡이 서로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립하는 존재로 변하기 시작했다. 

 

이방원과 정도전의 정치;

동지와 적은 종이 한 장 차이일 뿐이다, 분이와 이방지 그들은 무명인가 아니면 밀본인가?  

 

 

 

이성계는 자신의 여덟 째 아들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했다. 어리고 영특한 방석을 통해 새 나라의 기반과 기틀을 만들겠다는 의지가 컸기 때문이다. 정도전 역시 피로 만든 나라가 아닌 그가 꿈꾸는 국가를 위해서는 방석이 필요했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 반박할 수밖에 없는 왕자들이다. 

 

 

방과와 방간, 그리고 방원을 무기력하게 막아내지 않으면 정도전이 꿈꾸는 나라는 만들 수 없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자신들이 권력에서 물러나고 싶어하지 않았다. 더욱 방원은 정도전의 이런 생각에 조금도 동의하지 않고 있다.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왕자의 난'은 이미 그들 사이에서 꿈틀대기 시작했다.

 

'무명' 수장인 연향과 이방원과 만났다. 그리고 함께 손을 잡기를 권했다. 공공의 적이 된 정도전을 무너트려야만 한다는 공통적인 목표가 있었으니 말이다. 자신의 뒤를 쫓던 화사단의 자객을 잡은 방원은 무휼에게 선택을 요구했다. 무엇이 옳은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가는 상황에서 무휼은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정도전을 호위하던 이방지 역시 무휼과 같은 고민을 할 수밖에 없었다. 연희는 분이를 시골로 내려 보내자는 제안을 한다. 그리고 정도전과 이방원이 적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그가 어떤 선택을 할지에 대한 고민 역시 깊어질 수밖에 없었다.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혼란스러운 것은 분이 역시 마찬가지였다.

 

새로운 나라만 만들면 모든 것이 행복해질 것이라는 상상과 달리 현실은 더욱 복잡하고 혼란스럽기만 했다. 서로 다른 가치관과 정치에 대한 욕심은 둘을 적으로 만들었다. 정몽주를 죽인 이방원을 결코 좌시할 수 없었다. 자신이 죽을 운명에 처했고, 이를 구하기 위한 이방원의 선택을 오히려 그를 쳐야만 하는 이유로 생각하는 것은 의아함으로 다가온다.

 

포은과 함께 새 나라를 만들고 싶다고 했지만 그는 고려를 선택했다. 그리고 고려를 지키기 위해 완벽한 나라를 위한 모든 것을 준비한 삼봉을 죽이려 했다. 삼봉이 죽으면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어렵게 된다는 점에서 이방원의 선택은 단순하고 명쾌할 수밖에 없었다. 부패한 국가를 멸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포은을 막고 삼봉을 살려야 했기 때문이다.

 

 

 

이방원의 철퇴는 포은의 의지를 막아내고 이성계와 삼봉의 새로운 나라가 건국될 수 있는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그런 이유로 이방원은 둘에게 외면을 당할 수밖에 없었다. 삼봉은 자신을 한 고조 유방과 장량에 비유를 하고는 했다 한다. 유방의 나라가 아닌 장량이 한 나라를 실질적으로 건국하고 움직였다며 자신 역시 장량과 같이 이성계를 내세워 조선을 건국했다고 해왔다.

 

정도전이 생각하는 새로운 나라의 기틀과 가치가 부당하게 취급받을 수는 없다. 두 번의 '왕자의 난'을 일으키며 권력을 잡은 이방원을 무조건 비하할 수도 없다. <육룡이 나르샤>는 이 중간 지점에서 그들의 가치관이 어떻게 충돌해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그 중간에 무명이라는 조직이 함께 하며 역사에서는 그리지 못한 그 이상의 가치를 논하고 있다.

 

새로운 국가를 만들기 위해 정도전은 모든 권력을 자신에게 달라고 청했다. 이성계는 자신이 생각하는 세자를 위해 전처들의 아들들에게서 세자를 보호해야만 했다. 그런 점에서 이성계는 전적으로 정도전에게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많은 나이에 왕이 된 이성계로서는 자신이 생각하는 나라를 위해서 믿을 수 있는 것은 정도전 외에는 없었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고 변방으로 향한 정도전은 여진족들을 만나 회유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을 만나고 싶어 하는 인물과 마주하게 된다. 해주 상단으로 꾸민 채 여진족과 연결을 시켜준 만상 객주에 찾은 이가 정도전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그와 마주한 육산은 놀랄 수밖에 없었다.

 

 

 

만상 객주에서 사용되는 인장을 둘로 쪼개 겹쳐 찍으면 '무명' 문장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된 정도전은 자신 앞에 등장한 자가 바로 '무명'이라는 사실을 확인한다. 무명과 이방원. 둘을 쳐내지 않으면 자신이 생각하는 나라를 만들 수 없다는 확신이 든 정도전은 상대를 쳐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연하게도 자신이 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육룡이 나르샤>는 정몽주와 정도전의 죽음을 같은 괘로 바라보고 이끌고 있다. 정몽주도 자신의 가치관을 투영하기 위해 상대를 적으로 삼아 공격했다. 정도전 역시 포은과 마찬가지로 이방원을 적으로 삼았다. 하지만 포은이 처참하게 죽었듯, 삼봉 역시 지략에 거침이 없는 방원을 이겨낼 수는 없었다. 삼봉은 기본적으로 유자였고, 방원은 무사의 피가 흐르는 이성계의 아들이었기 때문이다.

 

무명은 분명 이방원과 손을 잡고 대업을 이룬다. 하지만 무명 내부에서도 연향과 육산은 대립한다. 그리고 그들은 이방원이 권력을 움켜진 이후 그 대립이 노골화되며 권력 투쟁으로 이어질 수밖에는 없다. 이미 육산을 내치기 위해 노력하는 연향과 권력에 대한 욕망이 누구보다 강렬한 육산은 공존할 수 없는 존재들이었다.

 

정도전의 죽음과 함께 밀본은 태생하게 된다. 세종대왕 시절 그를 힘들게 했던 밀본은 그렇게 이방원이 정도전을 죽이면서 잉태되었다고 보여 지기 때문이다. 문제는 분이와 이방지다. 그들은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들이다. 이방원의 부인인 민다경과 달리, 분이는 그림자처럼 역사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다. 그런 점에서 분이는 무명이나 밀본의 일원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분이가 밀본이 된다면 연향은 육산에 의해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방원은 왕이 된 후 외척들을 배척하는 과정에서 무명 조직까지 무기력하게 만들려 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분이는 새로운 비밀 조직인 밀본을 통해 정도전이 꿈꾸었던 '백성들을 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을 것이다. 장터에 남아있는 수많은 조직들과 함께 말이다.

 

 

 

역사는 바라보는 사람의 시각에 의해 다르게 보인다. 과거는 이미 지나간 일이고 그런 지난 일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지가 곧 과거의 이면이기도 하다. <육룡이 나르샤>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려말선초'의 격량기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큰 공을 세운 여섯 명의 존재를 용이라 지칭하며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 그들은 하나의 꿈이 아닌 서로 다른 꿈으로 갈라질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남은 이야기들 속에 작가의 의지가 모두 담겨질 것으로 보인다. 작가들이 생각하는 <육룡이 나르샤>는 무엇인지. 정도전과 이방원 사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는 죽음의 질주는 결국 역사의 진실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하지만 후대 사람들이 그 과정을 통해 무엇을 다시 한 번 고민하기를 바라는지 이제부터가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