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개최된 '라이브 에이드'가 MBC를 통해 방송되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엄청난 흥행 성공을 거두며 퀸의 공연이 담긴 '라이브 에이드' 영상도 유튜브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이를 반영하듯 MBC는 당시 공연 영상을 1시간 분량으로 축약해 화질 개선해 방송했다.
전설이 된 수많은 팝 스타들과 함께 한 지상 최대의 콘서트
영국 웸블리 구장을 가득 채운 엄청난 관객. 그리고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무대에 올라 공연을 하는 장면은 그 자체로 전설이 되었다. 미국 필라델피아 JFK 스타디움에서도 같은 날 라이브 에이드 공연이 이어졌다. 영미가 주가 되고 시드니와 모스크바에서도 소규모 공연이 이뤄졌다.
세계 100여개 국가에서 공연이 방송되었다. 국내에서는 MBC에서 3시간으로 편집된 공연이 방송되기도 했었다. 이번 방송은 33년 전 자사에서 방송된 영상에 화질 개선을 해서 방송했다. 방송 전체를 다 볼 수 있으면 좋겠지만 물리적으로 힘들다.
라이브 에이드는 많은 이들이 알고 있듯 자선 공연이었다. 전 세계 최고의 스타들이 같은 무대에 서서 모금을 하는 행사였다. 에디오피아 난민의 기아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되었다. 1984년 밴드 에이드로 시작해 그 유명한 'Do They Know It's Christmas?'란 곡으로 세계적으로 큰 반항을 일으켰다.
최고 스타들이 모여 그들도 크리스마스를 알고 있느냐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는 이 노래는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는 이들을 돕자고 나선 노래였다. 엄청난 성공은 밥 겔도프에게 '라이브 에이드'를 개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녹음실이 아니라 실제 공연을 통해 더 많은 이들을 돕자는 취지는 그렇게 현실이 되었다.
당대 최고의 스타들이 같은 날 공연 무대에 올라 노래를 부르는 과정은 그 자체로 장관이었다. 영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미국에서는 두 배나 되는 뮤지션들과 엄청난 공연 시간으로 이어지며 역사를 만들어냈다. 영국과 미국을 이어주는 여러 시도도 있었던 이 공연은 기술적 진보를 꿈꾸는 이들의 시연장이기도 했다.
라이브 에이드에서 많은 이들이 주목한 부분은 퀸의 공연이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가 개봉되기 전부터 퀸의 라이브 공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 유튜브 등에 올려진 공연 장면은 보려는 팬들은 충분히 연습을 하고 극장을 찾는 경우들이 많았다.
극장 체인은 일부 영화를 보며 노래도 부를 수 있는 방식을 도입해 이런 분위기에 부응했다. 영화를 보면서 마음껏 노래도 부를 수 있는 분위기는 국내이기에 가능한 '흥'이었다. 물론 이런 방식은 우리가 처음 만들어낸 것은 아니다. <록키 호러 픽쳐 쇼>에서 이미 시도되었다.
관객들이 함께 노래부르고 춤까지 추는 현상으로 인해 이 영화는 더욱 유명해졌다. 컬트 무비의 상징과도 같은 이 영화의 흥이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재현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 공연을 보지 못한 젊은 세대들에게 극장의 거대한 화면에서 재현된 실제 공연과 유사한 장면은 장관이었다.
축구 성지인 웸블리 구장을 가득 채운 관객들과 하나가 되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은 전율이 느껴질 정도로 장관이다. '떼창'으로 유명한 한국인들에게 이보다 더 적절한 떼창 분위기는 만들어지기 어려운 일이었다. 극장은 콘서트장이 되었고, 반복해서 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늘어나며 600만 관객을 넘어섰다.
국내에서 음악 영화로 최다 관객을 동원한 영화는 <레미제라블>의 592만명 기록이었다. 이 기록을 넘어선 <보헤미안 랩소디>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을 정도다. 이런 상황에서 MBC가 준비한 <라이브 에이드>는 영화에 대한 관심과 가치를 더욱 키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영화를 만든 미국의 퀸의 나라인 영국에 이어 한국에서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하고 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아프리카 출생, 아시아에서 보낸 젊은 시절, 양성애자와 에이즈. 이 모든 단어들은 프레디 머큐리를 상징한다. 주류사회에 낄 수 없는 이방인이었던 그가 퀸 리드보컬로 활동하며 기존의 음악을 뒤집어버린 충격적인 곡들을 만들고 불렀다. 그리고 거짓말처럼 너무 빨리 우리 곁에서 떠나버린 그를 추모하는 마음 역시 영화에 대한 관심을 높였을 듯하다.
수많은 슈퍼스타들이 공연에 참석했지만 '라이브 에이드'의 주인공은 바로 퀸이었다. 실제 당시 언론에서도 이번 공연을 퀸이 훔쳐갔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가장 큰 사랑을 받은 이들이 바로 퀸이고 프레디 머큐리였었다. 당시 공연장에서 보헤미안 랩소디 전곡이 아닌 것이 아쉬움을 주기는 했다.
'위 윌 락 유'와 '위 아더 챔피언'을 묶어 부르던 모습과 이에 적극 호응하며 함께 떼창을 부르는 장면은 지금 다시 봐도 소름이 돋을 정도였다. '라이브 에이드' 공연을 통해 U2가 세계적인 그룹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젊은 보노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는 것도 행복이다.
조지 마이클의 공연을 다시 접할 수 있었다는 것도 행운이다. 폴 메카트니의 '렛잇비'와 뒤이어 밴드 에이드 곡으로 마무리된 '라이브 에이드'는 그 자체로 전설이 되었다. 홀로 공연하던 뮤지션들이 합동 공연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고, 이후 다양한 공연 문화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는 점에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공연으로 인해 2100억이 넘는 모금이 이뤄지기도 했다. 당시 금액으로 1억 5천만 파운드가 모인 자선 공연은 그렇게 수많은 이들에게 삶을 이어갈 수 있는 희망이 되었다. '라이브 에이드'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들이 존재하지만 핵심은 이타적인 행동이다.
'우드스탁'은 전설이다. 1969년 뉴욕의 지방 도시 베델 근처 화이트 레이크의 한 농장에서 개최된 우드스탁 페스티벌에는 3일 동안 50만 명이 넘는 관객들이 찾았다. 전설적인 뮤지션들이 모두 집합해 공연을 한 '우드스탁'은 공연 문화의 새로운 기준을 작성했다. 그리고 그 문화는 그렇게 '라이브 에이드'로 꽃을 피웠다.
음악과 평화를 기치로 내건 히피 문화의 상징이 된 '우드스탁 페스티벌'은 자유에 대한 갈망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공연이었다. 미국의 베트남 참전을 반대하는 기류가 강한 상황에서 개최된 이 공연은 그 자체로 전설이 되었다. 다시는 우드스탁이나 라이브 에이드와 같은 문화를 향유할 수 없는 우리 세대에게 그 영상들은 큰 가치로 다가온다.
인종차별과 전쟁 반대, 그리고 기아에 시달리는 이들을 위한 모금 운동 등 음악으로 하나 되어 모두와 함께 하기 위한 노력은 그렇게 거대한 공연을 만들어냈다. 그 공연에 담긴 가치가 곧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단순히 음악 이상의 가치가 있기 때문이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역시 단순히 퀸의 노래를 듣기 위한 것이 아니다. 소수자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프레디 머큐리의 삶이 그 안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인종적으로 성적으로 모든 부분에서 소수자였던 프레디 머큐리가 만들어낸 혁신적 음악은 그렇게 세상에 평화를 이야기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우리가 이들에게 열광하는 이유 역시 같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Broadcast 방송이야기 > Broadcast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리의 만찬-판매자에서 구매자가 되는 꿈 (0) | 2018.12.15 |
---|---|
내 심장을 할 퀸 Queen-보헤미안 랩소디로 담아 풀어낸 우리 그리고 나 (0) | 2018.12.11 |
당신이 믿었던 페이크 2-조덕제와 반민정, 가짜뉴스는 자극을 먹고 자란다 (3) | 2018.11.28 |
SBS 스페셜-충건씨의 은퇴여행 우린 어떻게 살 것인가? (0) | 2018.11.26 |
그것이 알고 싶다-양진호란 괴물 못지 않은 웹하드 카르텔 해체가 중요하다 (5) | 2018.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