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회까지 쫓고 쫓기는 관계는 지속되었다. 살인범인 강정일은 노련한 변호사답게 반격을 가하며 딜레마에 빠지게 만들었다. 정일은 수연에게 복수를 하려 하고 그런 그에 반격을 가하려는 둘 사이의 다툼은 갇힌 상태에서도 치열하게 이어지고 있었다.
시작된 정의의 시대;
죄를 지으면 누구라도 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동준의 최후 진술이 핵심이다
강정일은 틈새 전략을 사용했다. 살인자가 되어 취조를 받는 과정에서 그는 모든 것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자신이 지은 죄를 어떻게 하면 피해갈 수 있을지 그는 알고 있다. 노련한 변호사라는 직업은 그래서 중요했다. 정일은 현재 상황에서 자신이 빠져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직접적인 살인을 증명할 수 있는 이는 백상구다. 하지만 백상구는 이제 없다. 물론 현장에 수연도 존재했지만 그녀의 증언은 형평성을 담보할 수 없다. 더욱 김성식 기자가 사망한 것은 분명하고, 흉기 역시 명확하다. 하지만 김성식을 누가 죽였는지에 대해 명확하지 않다.
현재 상황에서 증인이 나오지 않는 이상 강정일이 김성식 기자를 죽였다는 확실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다. 이 모든 것을 파악한 강정일은 살인죄가 적용될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 현재 상황에서 강정일을 살인자로 처벌을 할 수가 없다. 그대로 풀려날 가능성도 높은 상황에서 답을 찾아야 했다.
그 답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있었다. 스스로 죄인이 되어 태백이라는 거대한 법비를 무너트린 동준은 체포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이 지속해온 비리에 동준도 태백의 대표로서 사인을 했다. 거부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거부하고 태백을 떠나면 거대한 법비는 제자리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문제의 문건에 사인을 하는 순간 공범이 되고 동준 역시 범죄자가 되어 처벌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는 이 길을 선택했다. 스스로 죄인이 되어 거대한 법비를 잡아낸 동준은 다시 한 번 정일을 무너트렸다. 이젠 존재하지 않는 백상구를 악용해 살인죄에서 벗어나려 했지만, 그에게는 또 다른 범죄들이 있었다.
동준은 백상구에게 당해 죽을 수도 있었다. 이 과정에서 정일이 개입한 것 역시 명확한 진실이다. 물론 정일이 백상구에게 동준을 살해하라는 지시를 하지는 않았다. 다만 해외로 내보내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백상구는 그 이상을 했다. 이는 정일에게는 악수가 되고 말았다.
백상구가 존재하지 않는단 사실이 자신을 살인죄에서 벗어나게 하는 이유가 되었지만 이제는 발목을 잡는 이유가 되었다. 동준이 백상구에게 죽을 고비를 넘겼다. 직접 수술을 한 이도 있고, 돈을 건넨 자료도 존재한다. 이 상황에서 영주는 동준 모를 통해 그를 수술한 아버지에게 거짓말을 부탁했다.
정일이 자신에게 살인교사를 했다는 증언을 요구했다. 거짓말로 덧씌운 살인교사이지만, 살인죄를 악랄하게 벗어난 정일에게는 이보다 더 그럴 듯한 복수는 존재하지 않았다. 자신이 살인교사를 했다는 무고를 증명할 수 있는 이는 백상구다. 하지만 백상구를 데려오면 자신이 살인자가 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스로 살인교사 혐의를 벗어날 수 없다.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태백을 이끈 3명인 최일환, 강정일, 최수연 모두 실형을 언도 받았다. 그리고 최일환의 비서였던 송태곤과 법비를 근절하기 위해 스스로 죄인이 된 이동준은 자신의 죄를 담담하게 받아들였다. 다른 이들은 서로에게 죄를 떠넘기기에 여념이 없었지만 이동준만은 변호사도 사지 않고 판결에 순응했다.
"저는 판사였지만 판사 답게 살지 못했습니다. 평생을 기자답게 살아온 인생을 모욕했습니다. 그 대가로 안락한 삶을 살려고까지 했습니다. 변명하지 않겠습니다."
"저를 무겁게 벌하셔서 그 누구도 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이시고, 이 재판을 바라보는 수많은 국민들이 정의의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희망을 갖게 해주십시오."
검사의 10년 구형에도 이동준은 흔들리지 않았다. 예상했던 5년보다 두 배나 가까운 구형에 흔들릴 법도 하지만 그는 당당했다. 자신이 비록 판사로서 해서는 안 되는 청부 판결을 했다. 그 죄에 대한 대가를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그의 의지는 그래서 더욱 특별하게 다가온다.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는 자리에서 동준은 자신을 오히려 무겁게 벌을 해달라고 있다. 이를 통해 누구도 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증명해 달라고 했다. 이 재판을 통해 정의의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보여주고 희망을 갖게 해달라는 이동준의 최후 진술에 <귓속말>의 주제를 모두 품고 있었다.
실제 우리 현실을 보자. 온갖 패악질을 해도 돈이 많거나 권력을 가지고 있으면 처벌을 받지 않는다. 그게 우리의 법치주의였다. 권력을 가진 자는 그 어떤 범죄를 저질러도 정당한 처벌을 받은 적이 없다. 시민을 학살한 전두환이 사형을 선고받기도 했지만, 그는 1년도 살지 않고 당당하게 세상에 나왔다. 이게 현실이다.
전두환 같은 살인마도 제대로 처벌하지 않는 법치주의에서 법은 가진 자들을 위해 수단으로 전용되었다. 우병우 사태만 봐도 법치주의 국가에서 법이 얼마나 황망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내부에서 변하지 않는 한 결코 거대한 법비가 바뀔 수가 없다.
문재인 정부는 강력하게 검찰 개혁을 외쳤다. 대통령이 되자 이를 행동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소위 말하는 우병우 사단은 이 상황에서 사표를 쓰기에 여념이 없다. 그리고 서울중앙지검장에 윤석열을 앉히며 검찰이 나아가야 할 기준을 제시했다. 권력에 좌고우면하지 말고 검찰다운 검찰이 되라는 명확한 지시였다.
드라마 속 이동준처럼 극적인 상황들을 만들어낼 수 없지만, 법대로 행하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의 임명은 또 다른 의미로 검찰 개혁을 내부에서부터 시작하라는 주문이나 다름 없어 보인다. 드라마는 박경수 작가의 전작인 <펀치>에 출연했던 이태준과 최연준이 극중 인물로 다시 등장하기도 했다.
부패한 경찰직을 벗고 로스쿨에 가서 변호사가 된 영주. 그녀는 그렇게 동준이 갇혀 있던 3년 동안 열심히 공부했다. 변호사가 된 영주가 걸어갈 길은 어떤 길일까? 인권변호사로서 가치를 보여주는 마지막 장면에서 영주가 꿈꾸는 세상이 어떤 세상인지는 명확하게 드러나 보였다.
박경수 작가의 <귓속말>은 다른 전작들에 비해 조금은 유연해진 느낌이었다. 주제 의식은 여전하지만 이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좀 더 부드러워지며 보다 시청자들의 눈높이에 맞췄다는 점에서 반갑다. 사회적 문제를 드라마로 풀어내는 강점을 가진 박경수 작가의 차기작은 어떤 작품이 될지 벌써부터 기대된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Drama 드라마이야기 > Korea Drama 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카고 타자기 14회-고경표의 전생 죽음은 현실에 대한 암시였다 (0) | 2017.05.28 |
---|---|
시카고 타자기 13회-유아인 임수정 고경표 모두가 불행해지는 결말인가? (0) | 2017.05.27 |
귓속말 16회-이보영과 이상윤의 긴급 체포 키스, 정의를 말하다 (0) | 2017.05.23 |
시카고 타자기 12회-충격적 고경표 죽음은 어떤 변수를 가져올까? (0) | 2017.05.22 |
시카고 타자기 11회-유아인 임수정 눈물의 키스 전생을 이길 사랑 완성될까? (0) | 2017.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