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 드라마는 여전히 강세다. 일일 드라마와 주말 드라마의 막장화는 이제는 일상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이제는 일반 시청자들의 DNA마저 막장으로 변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이런 막장의 진화 역시 눈여겨볼 대목이다. '드라마 왕국'이라는 이야기를 듣는 SBS가 적극적으로 이런 변형된 막장을 선보이고 있다는 사실이 의외다.
리멤버는 결코 시그널이 될 수 없다;
정의를 상품으로 만들어 '정의 팔이'하는 드라마의 한계, 막장의 진화가 한심하다
막장은 사회를 반영한다. 막장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국민이라는 점에서 사회적인 흐름이 막장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정치를 비난하면서 그들을 뽑은 우리 자신에 대한 자성은 가지지 않는다. 스스로 잘못을 깨우치지 못하면 결코 변화는 일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스스로 변하지 않는 한 부당함은 변할 수 없다는 진리를 다시 확인하게 된다.
2015년 방송된 <용팔이>는 연말 SBS 시상식에서 대상 등 주요 상을 휩쓸었다. 재미있는 현상이 아닐 수 없다. 개연성이라고는 찾아볼 수도 없는 막장이었지만 큰 성공을 거뒀다. 영화 시나리오를 하던 작가의 드라마 제작이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고,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타를 앞세워 초반 인기 몰이는 주요한 이유가 되었다.
말도 안 되는 이야기에 익숙한 시청자들에게는 그 황당한 상황들마저 익숙함으로 다가왔던 듯하다. 이런 잘못된 신호는 2016년에도 SBS에서 이어지고 있다. 지난 해 사회 전반적인 문제를 전면에 내세운 드라마로 큰 화제를 모았던 SBS는 영화 <변호사>에서 공동 시나리오를 담당했던 인물을 앞세워 TV판 <변호사>를 선보이는 듯했다.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을 등장시켜 악랄한 재벌을 응징한다는 초기 설정은 흥미로웠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4회 이상을 넘길 수 없는 이야기는 그저 그 정도였다. 초기 이야기 이후 더는 진전이 없는 <리멤버-아들의 전쟁>은 애들 장난하듯 시간 끌기에만 집착하고 있으니 말이다.
직관적이고 출연하는 배우들에 대한 공감을 부여하고 지독하고 악랄한 악역이 등장한다. 이야기 구조가 엉망이 되더라도 시청자들은 그 안에 등장하는 악당을 비난하기 위해 드라마를 다시 찾는다. 욕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고, 그렇게 마음껏 욕할 수 있도록 말도 안 되는 전개를 만들어간다. 이런 막장극의 공식은 <용팔이>와 <리멤버-아들의 전쟁>에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다른 점이라면 이들 두 드라마에는 소위 대중들을 이끌 스타들을 전면에 배치한다. 그렇게 배치된 인물들을 적극적으로 홍보 수단으로 활용한다는 것이 일반 막장 드라마와는 다르다. 기본적으로 막장 드라마로 불리는 드라마는 스타가 필요 없다. 스타보다는 작가의 의중을 그대로 연기할 연기자만 필요할 뿐이다.
이들의 또 다른 공통점은 스타 마케팅을 통한 낚시질과 함께 '정의'를 전면에 내세운다. 현재와 같은 사회에서 '정의'는 시청자들을 가장 흥미롭게 이끄는 소재이기도 하다. 마치 반공을 앞세운 시대 '정의 사회 구현'을 외치듯 이들 드라마에는 '정의'가 중요한 주제어이기도 하다.
'정의'가 이들 드라마를 관통하는 주제어이기는 하지만, 한심하게도 그저 이를 이용할 뿐이지 제대로 된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용두사미'라는 점에서 닮았다. 둘 다 영화 시나리오를 쓰던 작가를 영입해 드라마로 만들었다는 공통점과 그럴 듯한 초반과 달리 점점 의미 없는 시간 때우기 식 전개까지 뭐하나 다르지 않다. 마치 썀쌍둥이 드라마가 아닌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다.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의사와 변호사라는 직업의 차이는 있지만 이들의 절대적인 능력과 이를 활용한 이야기 전개는 마치 한 작가가 쓴 것이라 해도 믿을 정도다. 이 정도되면 작가의 창작의 산물이라기보다는 기획이 만든 결과로 여겨진다. 작가 드라마가 아닌 단순한 기획 드라마가 연이어 성공했다. 이런 성공은 SBS에 잘못된 신호를 보낸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의 완성도와 상관없이 시청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는 것은 이후에도 작품의 완성도는 상관없는 그렇고 그런 드라마 양산 시대가 도래 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큰 문제로 다가온다. 수백 명의 노비를 거느린 황금수저를 앞세운 드라마를 준비하고 있는 SBS는 이제 '정의'라는 수식어도 의미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
이야기의 완성도 보다는 수익에 중점을 둔 이 드라마들은 당연하게도 소위 말하는 '고구마 드라마'가 될 수밖에는 없다. 철저하게 시청자를 우롱하며 '막장 드라마'의 전형적인 공식을 이용할 뿐이다. 어차피 보기 시작한 드라마는 손쉽게 포기하지 못한다는 시청자들을 이용한 제작진들의 선택은 두 번의 성공을 거뒀다. 물론 이후에도 약간 변형된 이와 같은 드라마가 성공할 가능성도 높다.
'조삼모사'하듯 쉽게 잊고 허망한 희망을 품는 게 우리네 인생이고 삶이니 말이다. 정치판이 엉망이 된 현실 속에서도 새로운 희망이 보이지 않듯, '막장 드라마'가 지배하고 있는 TV도 크게 달라질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그저 돈만 벌면 그만이라는 이들의 선택은 결과적으로 한류 드라마의 끝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문제다.
과거 홍콩 영화가 그랬듯, 동의반복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희망은 보이지 않는다. 그게 정치든 드라마이던지 말이다. 이런 한심한 장사를 하고 있는 지상파와 달리, tvN의 완성도로 승부를 보고 있다. 케이블이라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채널이라는 점도 한 몫하고 있지만 그들은 극의 완성도가 곧 성공이라는 당연한 진리를 믿고 있다.
<응답하라 1988>과 <시그널>에서 알 수 있듯, tvN의 선택은 옳았다. 케이블의 한계를 벗어나고 극의 완성도를 극대화하면서 시청률도 올리는 '두 마리 토끼 잡기'에 성공하고 있다는 사실은 흥미롭다. 지상파가 자신들의 지위를 악용하며 '막장 드라마' 고착화에 집착하는 모습과 달리, 케이블은 본질적인 가치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사회적 악에 맞서는 정의를 앞세운 <시그널>은 드라마의 완성도와 함께 시청률도 올리고 있다. 지상파 드라마가 이야기의 완성도를 버리고 오직 돈 벌이에 급급한 것과 달리, 이들의 선택은 장기적으로 성공할 수밖에 없다. 이미 '막장 드라마'에 대한 공개적인 비난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에서 진짜 이야기에 대한 욕구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리멤버-아들의 전쟁>은 결코 <시그널>이 될 수 없다. 악랄한 재벌을 응징하기 위해 말도 안 되는 이유들을 들어 막장으로 이야기를 이끌고 있다고 변명을 할 수도 있지만 그건 진정한 비겁한 변명일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한심하고 능력 없는 작가를 앞세워 이미 기획된 이야기를 기계처럼 공식을 적용해 쓰는 방식으로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
말도 안 되는 방식으로 성공을 거둬 의기양양할지 모르지만 결국 본질을 잃은 이야기는 대중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는 없다. 능력이 안 되는 것을 마치 대단한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그럴 듯한 여정으로 포장하는 일부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결코 아니다. 그저 능력이 안 될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작가의 능력보다는 기획의 힘으로 이득이 큰 장사를 하기는 했지만, 이런 식의 반복은 결국 시청자들의 외면으로 이어질 수밖에는 없다. <시그널>이 장사가 되기 힘들다며 외면했던 SBS. 그들은 변화된 막장으로 돈벌이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이 모든 것이 영원할 것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시그널>이 만약 SBS에 편성되었다면 이 드라마 역시 '용두사미'로 전락할 수도 있었을 테니 말이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Drama 드라마이야기 > Korea Drama 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그널 6화-차수현의 죽음, 이재한과 박해영 모두를 각성시켰다 (0) | 2016.02.07 |
---|---|
시그널 5화-성수대교로 녹여낸 그들의 여정 이후가 기대되는 이유 (0) | 2016.02.06 |
치즈인더트랩 10화-유정 백인호 두 남자가 만드는 홍설 구하기, 달콤하거나 씁쓸하거나 (0) | 2016.02.03 |
육룡이 나르샤 36화-이방원 피의 선죽교와 삼봉의 책임 정치 (0) | 2016.02.03 |
치즈인더트랩 9화-박해진과 서강준 뻔한 설정도 흥미롭게 만든 극단적 매력 발산 (0) | 2016.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