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안의 화제가 되고 있는 <시크릿 가든>이 표절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만화 작가로서 오랜 시간 활동을 해왔던 황미나 작가가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습니다. 자신의 창작물을 노골적으로 도용하는 이들로 인해 작업하기가 힘들다며 한 회 쉬는 강수를 둔 것이지요.
김은숙 작가는 과연 표절했을까?
창작자에게 가장 심각하고 힘든 상황은 표절 논란입니다. 논란만으로도 심각한 상처를 입을 수 있기에 확실한 정황과 물증이 없다면 아무렇지 않게 표절 시비를 걸어서는 안 되는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견 만화 작가인 황미나는 에둘러 자신의 작품을 표절하는 이들로 인해 작품 활동을 하지 못하겠다며 노골적인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오랜 시간 만화가로서 높은 인지도를 얻으며 작품 활동을 해왔던 그녀가 여러 사건들을 통해 자신의 작품을 표절한 이들과 법정싸움까지 했다고 해서 모든 이들이 자신의 작품을 표절하려 하고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일부 장르의 특성상 유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마저 자신만이 해야 하는 것이라 치부한다면 장르라는 것 자체는 의미가 없어질 것입니다. 장르라고 규정하는 것은 그 안에 장르라고 아우를 수 있는 유사한 특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이는 대중적인 기호로 자리 잡은 래시피의 재료와 같은 것들이기도 합니다. 그 재료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느냐는 작가의 몫이고 고유의 영역입니다.
래시피가 같고 결과물도 같다면 이는 당연히 표절일 것입니다. 표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들에서 이런 장면들과 유사하고 이런 유사성은 표절이 아니면 나올 수 없는 것이다'라는 명확함이 존재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고 심정적으로 누군가 내 이야기를 따라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는 것은 너무 무모할 수밖에는 없습니다.
부활의 리더 김태원은 '남격'에서 이야기했던 "'C코드'는 만인의 것이야"라는 말로 표절과 응용의 그 모호함을 표현한 적이 있습니다. 코드라는 것은 명확하게 몇 가지로 규정되어 있지만 이를 어떤 식으로 차용해서 창작하느냐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작품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음악이나 글이나 모든 창작에서 용인되고 당연시되는 방식입니다.
표절 논란이 불거지자 표절로 의심받던 <시크릿 가든>의 김은숙 작가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논란에 대해 요목조목 반박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그녀의 반박 글을 옹호할 수밖에 없음은 로맨틱 코미디에서는 식상하다시피 자주 등장하는 방식이자 형식이라는 것이지요. 이를 통해 하나의 트렌드가 만들어지고 대중들은 로코의 이런 재미로 장르에 빠져드는 것이니 말입니다.
과연 이런 일상적인 형식을 도용했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지 모호합니다. 표절 의심이 들었다면 어떤 장면들에서 자신의 어떤 부분을 어떤 방식으로 차용했으니 표절이 의심된다고 정확하게 지적을 했어야만 합니다. 두리 뭉실하게 표절의심을 하게 된다면 창작자에게는 비수를 꽂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자신만 작가이고 다른 이들은 자신의 이야기만 차용하고 표절하는 이들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커다란 망상일 수밖에는 없겠지요. 일부 영혼을 판 엉터리 작가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이들이 표절 의심을 받아야 한다는 것은 심각한 오류일 뿐입니다.
<시크릿 가든>에는 풍자와 패러디가 넘칩니다. 김작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패러디도 있고 주연 배우들의 전작들에 대한 패러디들도 의도적으로 차용해 극의 재미를 위해 사용합니다. 교묘하게 숨기는 것이 아닌 노골적으로 드러내 재미를 전해주는 김작가의 방식은 많은 이들에게 환영받고 있습니다.
여럿 히트 작품(히트 작품이 많다고 표절 하지 않는다는 논리가 아닌)을 만든 그녀가 과연 황미나 작가의 만화를 보면서 작품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이는 '만화 작가보다 드라마 작가가 상대적으로 우월한 존재다'라는 어설픈 계급적 접근이 아니라, 순수한 창작자로서 그녀가 과연 표절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이번 논란이 무척이나 중요하고 심각한 것은 작가의 양심에 대한 공방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 어떤 작품이라 밝히지는 않았지만 정황상 <시크릿 가든>이라 의심할 수밖에 없도록 글을 작성한 황미나 작가의 동생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근거를 통해 김은숙 작가의 글에 반박해야만 할 것입니다.
표절 논란은 '아니면 말고 식'으로 단순히 넘길 정도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 어느 때보다 표절이 쉽고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에 표절 논란은 작가의 양심을 파는 파렴치한 행위입니다. 그런 의심을 받은 작가가 자신의 양심을 걸고 표절 논란에 대처했으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쪽에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만 할 것입니다. 단순한 여론 몰이로 사건을 희석시키고 노이즈 마케팅으로 의심살만 한 상황으로 방치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누군가는 김은숙 작가가 이런 글을 올리는 것 자체를 뒤가 구려서 그러는 것 아니냐는 분들도 있지만, 이는 작가의 양심을 걸고 자신의 작품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만들어낸 당연한 권리 주장입니다. 창작자의 자부심을 걸고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으니 황미나 작가 쪽에서도 입장 정리는 해야 할 것입니다. 표절은 누구를 막론하고 비난받아 마땅하고 해서는 안 되는 것이기에 표절이라면 분명하게 자신의 권리를 찾아야만 할 것입니다.
유익하셨나요? 구독클릭 부탁합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방송연예드라마스토리]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김은숙 작가는 과연 표절했을까?
창작자에게 가장 심각하고 힘든 상황은 표절 논란입니다. 논란만으로도 심각한 상처를 입을 수 있기에 확실한 정황과 물증이 없다면 아무렇지 않게 표절 시비를 걸어서는 안 되는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견 만화 작가인 황미나는 에둘러 자신의 작품을 표절하는 이들로 인해 작품 활동을 하지 못하겠다며 노골적인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오랜 시간 만화가로서 높은 인지도를 얻으며 작품 활동을 해왔던 그녀가 여러 사건들을 통해 자신의 작품을 표절한 이들과 법정싸움까지 했다고 해서 모든 이들이 자신의 작품을 표절하려 하고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일부 장르의 특성상 유사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마저 자신만이 해야 하는 것이라 치부한다면 장르라는 것 자체는 의미가 없어질 것입니다. 장르라고 규정하는 것은 그 안에 장르라고 아우를 수 있는 유사한 특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이는 대중적인 기호로 자리 잡은 래시피의 재료와 같은 것들이기도 합니다. 그 재료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느냐는 작가의 몫이고 고유의 영역입니다.
래시피가 같고 결과물도 같다면 이는 당연히 표절일 것입니다. 표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들에서 이런 장면들과 유사하고 이런 유사성은 표절이 아니면 나올 수 없는 것이다'라는 명확함이 존재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고 심정적으로 누군가 내 이야기를 따라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는 것은 너무 무모할 수밖에는 없습니다.
부활의 리더 김태원은 '남격'에서 이야기했던 "'C코드'는 만인의 것이야"라는 말로 표절과 응용의 그 모호함을 표현한 적이 있습니다. 코드라는 것은 명확하게 몇 가지로 규정되어 있지만 이를 어떤 식으로 차용해서 창작하느냐에 따라서는 전혀 다른 작품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음악이나 글이나 모든 창작에서 용인되고 당연시되는 방식입니다.
"그 내용이 1)발영어 2)패션테러리스트 3)남주가 여주 직장에 찾아가 괴롭힌다 4)시가 등장한다 등입니다"
"황작가님께선 정말 이것이 표절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번은 정말 흔하디 흔한 설정입니다. '허당' 캐릭터를 표현할 때 편하게 취하는 설정입니다. 정말 이것을 황작가님만 창작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번은 황당 그 자체입니다. 넘어가겠습니다. 3번 남주가 여주 직장에 찾아가 괴롭히는 건 모든 로맨틱 드라마의 널리고 깔린 설정입니다. 모든 남주는 여주를 괴롭히다 알콩달콩으로 발전하죠. 제 전작들도 그랬고 수많은 드라마들이 그러고 있습니다. 상투적이다 욕먹을 순 있어도 표절이란 말은 어불성설입니다. 빵을 만드는데 설탕과 우유가 들어갔다고 '내 레시피를 표절했어'라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4번 시가 등장하는 부분은 엄밀히 말해 '시'가 아니라 책 제목으로 만든 '문장'입니다"
"거대한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고 책을 읽는 캐릭터의의 속마음을 표현하기에 아주 적절한 방법이라 개인적으로 제가 기특했던 신입니다. 또 문예창작과 출신인 제가 드라마에 '시'를 등장 시키는 게 왜 이상한 거죠? 제 데뷔작 '태양의 남쪽'을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그 드라마에선 남녀 주인공이 '시'같은 편지를 주고받고 여주인공은 직접 시를 낭송까지 합니다"
"황작가님께선 정말 이것이 표절이라고 생각하십니까? 1번은 정말 흔하디 흔한 설정입니다. '허당' 캐릭터를 표현할 때 편하게 취하는 설정입니다. 정말 이것을 황작가님만 창작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번은 황당 그 자체입니다. 넘어가겠습니다. 3번 남주가 여주 직장에 찾아가 괴롭히는 건 모든 로맨틱 드라마의 널리고 깔린 설정입니다. 모든 남주는 여주를 괴롭히다 알콩달콩으로 발전하죠. 제 전작들도 그랬고 수많은 드라마들이 그러고 있습니다. 상투적이다 욕먹을 순 있어도 표절이란 말은 어불성설입니다. 빵을 만드는데 설탕과 우유가 들어갔다고 '내 레시피를 표절했어'라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4번 시가 등장하는 부분은 엄밀히 말해 '시'가 아니라 책 제목으로 만든 '문장'입니다"
"거대한 라이브러리를 가지고 있고 책을 읽는 캐릭터의의 속마음을 표현하기에 아주 적절한 방법이라 개인적으로 제가 기특했던 신입니다. 또 문예창작과 출신인 제가 드라마에 '시'를 등장 시키는 게 왜 이상한 거죠? 제 데뷔작 '태양의 남쪽'을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그 드라마에선 남녀 주인공이 '시'같은 편지를 주고받고 여주인공은 직접 시를 낭송까지 합니다"
표절 논란이 불거지자 표절로 의심받던 <시크릿 가든>의 김은숙 작가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논란에 대해 요목조목 반박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그녀의 반박 글을 옹호할 수밖에 없음은 로맨틱 코미디에서는 식상하다시피 자주 등장하는 방식이자 형식이라는 것이지요. 이를 통해 하나의 트렌드가 만들어지고 대중들은 로코의 이런 재미로 장르에 빠져드는 것이니 말입니다.
과연 이런 일상적인 형식을 도용했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지 모호합니다. 표절 의심이 들었다면 어떤 장면들에서 자신의 어떤 부분을 어떤 방식으로 차용했으니 표절이 의심된다고 정확하게 지적을 했어야만 합니다. 두리 뭉실하게 표절의심을 하게 된다면 창작자에게는 비수를 꽂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자신만 작가이고 다른 이들은 자신의 이야기만 차용하고 표절하는 이들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커다란 망상일 수밖에는 없겠지요. 일부 영혼을 판 엉터리 작가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모든 이들이 표절 의심을 받아야 한다는 것은 심각한 오류일 뿐입니다.
<시크릿 가든>에는 풍자와 패러디가 넘칩니다. 김작가 자신의 작품에 대한 패러디도 있고 주연 배우들의 전작들에 대한 패러디들도 의도적으로 차용해 극의 재미를 위해 사용합니다. 교묘하게 숨기는 것이 아닌 노골적으로 드러내 재미를 전해주는 김작가의 방식은 많은 이들에게 환영받고 있습니다.
여럿 히트 작품(히트 작품이 많다고 표절 하지 않는다는 논리가 아닌)을 만든 그녀가 과연 황미나 작가의 만화를 보면서 작품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이는 '만화 작가보다 드라마 작가가 상대적으로 우월한 존재다'라는 어설픈 계급적 접근이 아니라, 순수한 창작자로서 그녀가 과연 표절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이번 논란이 무척이나 중요하고 심각한 것은 작가의 양심에 대한 공방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정확하게 어떤 작품이라 밝히지는 않았지만 정황상 <시크릿 가든>이라 의심할 수밖에 없도록 글을 작성한 황미나 작가의 동생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근거를 통해 김은숙 작가의 글에 반박해야만 할 것입니다.
표절 논란은 '아니면 말고 식'으로 단순히 넘길 정도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 어느 때보다 표절이 쉽고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에 표절 논란은 작가의 양심을 파는 파렴치한 행위입니다. 그런 의심을 받은 작가가 자신의 양심을 걸고 표절 논란에 대처했으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쪽에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만 할 것입니다. 단순한 여론 몰이로 사건을 희석시키고 노이즈 마케팅으로 의심살만 한 상황으로 방치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누군가는 김은숙 작가가 이런 글을 올리는 것 자체를 뒤가 구려서 그러는 것 아니냐는 분들도 있지만, 이는 작가의 양심을 걸고 자신의 작품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만들어낸 당연한 권리 주장입니다. 창작자의 자부심을 걸고 자신의 생각을 드러냈으니 황미나 작가 쪽에서도 입장 정리는 해야 할 것입니다. 표절은 누구를 막론하고 비난받아 마땅하고 해서는 안 되는 것이기에 표절이라면 분명하게 자신의 권리를 찾아야만 할 것입니다.
유익하셨나요? 구독클릭 부탁합니다^^;;
* 이 포스트는 blogkorea [블코채널 : 방송연예드라마스토리] 에 링크 되어있습니다.
반응형
'Broadcast 방송이야기 > Broadcast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우의 집사 폐지는 당연, 책임은 어떻게 질텐가? (4) | 2010.12.18 |
---|---|
이승기 SBS 연예대상 후보가 중요한 이유 (17) | 2010.12.16 |
연평도 사태, 국방장관 교체가 문제가 아니다 (3) | 2010.11.26 |
김태호 피디의 상대적 만족이 특별한 이유 (4) | 2010.11.23 |
김혜수의 W 마지막 회 무엇을 남겼나 (14) | 2010.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