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rama 드라마이야기/Korea Drama 한드

육룡이 나르샤 35화-이방원과 정몽주 주사위는 던져졌다

by 자이미 2016. 2. 2.
반응형

정몽주에게는 천운이 따르지 않았다. 이성계가 낙마하고 그를 제압할 수 있었다면 정몽주가 꿈꾸는 세상을 만들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하늘은 이성계와 이방원에게 힘을 주었다. 전설의 무림 고수인 척사광까지 가세한 이성계 제거 사건은 실패로 돌아가고 아버지 이성계를 개경으로 모신 이방원의 존재감은 더욱 커졌다.

 

두 개의 천운;

무휼 각성시킨 척사광, 고려 말 시대는 이방원을 요구했다

 

 

 

일촉즉발의 위기 속에서 이방원은 부상을 당한 아버지를 구했다. 두 개의 가마 작전을 통해 적을 교란시켰고, 홀로 아버지를 수레에 태어 도주한 이방원은 그렇게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게 되었다. 산을 헤매며 적들의 추격을 피하는 과정에서 이방원은 자신을 도운 조말생과 운명적인 만남까지 가지게 된다.

 

훗날 태종이 된 이방원이 가장 신뢰했던 인물 조말생과의 인연은 그렇게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가장 위급한 상황에서 목숨을 구하고, 대업을 이해하는 유생으로 등장시켰다. 태종이 조말생을 그렇게 신뢰하고 좋아한 이유를 찾으며 만들어낸 그 상황은 그래서 드라마가 가지는 장점으로 잘 묘사되었다.

 

산속에 살던 조말생의 도움으로 적들을 피할 수 있었던 이방원과 이성계는 그곳에서 확고한 조선 건국 의지를 드러냈다. 이성계에게 칼을 겨눈 조말생에게 이방원의 분노에 담긴 진심은 명확했다. 유자의 나라를 만들겠다는데 왜 유생들이 막느냐. 토지를 개혁하고 불교를 개혁하겠다는데 왜 그들은 막으려고만 하느냐고 외치는 이방원의 기세는 조말생이 평생 충성을 맹세하게 만들 정도였다.

 

조말생의 도움으로 이방원은 개경으로 아버지 이성계를 모실 수 있었다. 고인을 모시는 장례 문화를 이용해 관에 이성계를 모시고 유족의 모습으로 성을 통과한 이방원의 지략으로 이성계는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 극적인 상황은 조선 건국의 시작이었다. 

 

이성계를 제거한 후 정도전을 비롯한 모든 이들을 참수시키려던 계획은 그가 개경 자신의 집으로 돌아왔다는 사실을 알고는 급격하게 흔들리기 시작했다. 누구보다 이성계를 두려워하던 공양왕은 모든 계획이 무너졌음을 직감했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까지도 흔들리지 않는 유일한 존재는 포은이었다.

 

 

이성계를 배신하고 고려의 마지막 충신이 되고자 했던 포은은 결코 이성계가 자신을 죽일 수는 없을 것이란 확신을 가졌다. 궁에서 수많은 병사들의 호위를 받으며 버티기 시작하면 거대한 내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방원은 고민이 커지고 있었다.

 

이 상황에서 반전을 이끌 수 있는 것은 단 하나 밖에 없었다. 포은을 죽이지 않으면 이 혼란이 끝나지 않을 것이라 확신하고 있던 이방원에게는 궁에서 포은을 나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아버지 이성계에게도 포은을 제거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지만, 포은의 생각처럼 이성계는 그런 아들을 나무랐다. 마지막 순간까지도 이성계는 포은의 마음을 돌려 함께 새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했다.

 

가마를 단숨에 반으로 갈라버리는 자객의 등장에 망연자실했던 무휼과 이성계의 무사들. 이 놀라운 무공에 경악스러워하는 것과 함께 무휼은 그 인물이 저자거리에서 만났었던 여인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 눈빛만으로도 알 수 있는 존재. 그건 바로 척사광이었다. 

 

칼로 벨 수도 있는 상황에서 척사광은 칼등으로 상대했다. 그러면서도 수많은 무사들을 제압하고 가마를 갈라놓는 신공을 선보였다. 가녀린 여인이 척사광이라는 사실이 여전히 믿기지 않았던 무휼은 다시 한 번 그녀와 마주한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무휼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각성을 경험한다.

 

 

살인을 싫어하는 척사광이지만 이미 서로 다른 배를 탄 둘이 하나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무휼은 척사광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었다. 그렇게 스승인 홍대홍에게 곡산권법을 이길 수 있는 방법은 묻지만 돌아오는 답은 "도망쳐"라는 말이 전부였다.

 

길선미에게도 했던 답변을 무휼에게도 그대로 할 정도로 곡산권법에는 약점이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절대무공인 척사광을 무너트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도 존재했다. 권법이 아닌 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약점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은 무휼 혹은 이방지가 척사광을 무너트릴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함을 알려주는 대목이었다.

 

공양왕의 연인이자 포은을 지키는 호위무사인 척사광을 제압하지 않고 정몽주를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런 점에서 척사광은 죽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그 지독한 운명을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가 중요한데, 여린 여인의 마음이 절대적인 무공을 갖춘 척사광을 무너트릴 수 있는 유일한 이유가 된다는 사실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호기롭게 이성계의 집을 찾은 포은. 이미 그를 제거해야만 한다는 확신을 품었던 이방원에게는 기회였다. 하지만 이성계는 달랐다. 자신은 포은과 삼봉이 나눴던 그 대화처럼 권력에 대한 욕심 없이 새로운 세상을 통해 백성들이 행복한 나라를 만들고 싶다며 다시 한 번 자신과 함께 하기를 간곡하게 제안했다. 하지만 각혈까지 하며 힘겨워하는 이성계를 뒤로 하고 포은은 멈추지 않았다.

 

 

왕의 교지를 받고 이성계 일파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 나서는 포은. 자신의 선택이 잘못되었을 때를 생각해 모든 것은 자신의 강요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라며 교지를 가지고 궁을 나서는 포은. 그는 더는 죽음도 두려운 존재가 아니었다. 어차피 승부수는 던져야 하는 시점이었다. 그렇게 주사위는 던져진 것이다.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며 했던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말처럼 포은과 이방원은 더는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게 되었다. 이성계의 마지막 부탁에도 고려를 선택한 포은과 그를 제거하지 않으면 자신들이 죽을 수밖에 없음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이방원의 선택은 결국 서로를 죽이지 않으면 끝나지 않는 싸움이었다.

 

철퇴를 가지고, 무사들과 함께 포은을 잡으러 떠나는 이방원. 왕의 교지를 들고 척사광의 호위를 받으며 이성계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나서는 포은. 돌이킬 수 없는 그들의 선택은 선죽교 앞에서 그 유명한 '하여가'와 '단심가'를 만들어냈다. 이방원의 '하여가'에 맞선 정몽주의 '단심가'는 역사를 새롭게 쓰는 이유가 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후에도 이방원이 아버지인 이성계와 스승인 정도전에게 배척당하는 이유가 만들어졌다. 그들이 그토록 특별하게 생각했던 포은을 죽인 이방원을 둘은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그렇지 않아도 권력에 대한 욕심이 많았던 이방원을 경계했던 정도전에게 그는 경계해야만 하는 대상일 뿐이었다.

 

이성계와 정도전 모두 이방원이 아닌 다른 이들 세자로 책봉하려 했다는 것에서 명확한 의지가 드러났다. 하지만 이미 조선 건국을 통해 자신이 꿈꾸는 나라가 존재하는 이방원에게 둘의 방해는 더는 문제가 될 것이 없었다. 두 번의 왕자의 난으로 조선의 세 번째 왕이 되는 이방원. 그는 그렇게 자신의 몸속에서 꿈틀거리는 벌레를 키워냈다. 그리고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인 세종의 아버지가 되었다.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상상력으로 빈틈을 채워가는 작가의 힘이 느껴지는 <육룡이 나르샤>는 가파르게 조선 건국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정교한 퍼즐을 맞추듯 역사적 사실과 기록되지 않는 이야기를 잘 버무려 의외의 재미로 만들어내고 있는 <육룡이 나르샤>는 역시 강렬하다.

 

         [해당 사진들은 모두 본문 이해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모든 권리는 각 방송사에 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