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권해효15

드라마의 제왕 14회-김재철 MBC 사장의 시청률 지상주의를 통렬하게 비판하다 단역 배우들의 애환을 그리며 시작했던 14회는 시청률 지상주의에 매몰된 MBC를 강력하게 비판했습니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김재철 사장의 잘못된 정책을 조롱하는 모습은 통렬했습니다. 시청률만 바라보는 김재철 사장의 황당한 정책에 대해 얼마나 바보 같은 짓인지 비꼬는 은 풍자의 끝이 어디까지인지 알 수 없게 해주었습니다. 김재철 사장의 MBC, 시청률 지상주의를 통렬하게 비판하다 불타오르는 세트장 안에 단역 배우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발만 동동 구르던 현장. 모두가 거세게 일고 있는 불길에 두려워하는 상황에서 앤서니는 거침없이 그 불 속으로 들어서기 시작했습니다. 드라마 성공을 위해서는 영혼도 악마에게 팔아야 한다던 앤서니가 단역 배우 하나를 살리기 위해 스스로 불속으로 들어서는 것은 모두에게 의외로 다가올.. 2012. 12. 19.
드라마의 제왕 11회-김명민 앤서니에서 김봉달로 변신이 즐거운 이유 표절 논란으로 최대 위기에 빠졌던 앤서니와 이고은이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그 힘의 원천에는 어머니라는 가족의 힘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가왔습니다. 악마와 같은 앤서니를 인간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유일한 존재인 어머니와 고은을 아끼는 어머니는 그들의 공통점이자 중요한 매개가 될 수밖에는 없습니다. 앤서니가 아닌 김봉달이 된 김명민이 중요하다 두려울 정도로 냉철한 앤서니는 드라마 제작에 자신의 모든 것을 내건 열정적인 존재입니다. 성공적인 드라마 제작을 위해서라면 뭐라도 할 수 있다는 그는 자신을 위협하고 공격하는 제국의 오진완 사장이나 회장과 다름이 없는 존재일 뿐이었습니다. 은 드라마 제작 과정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며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 2012. 12. 11.
드라마의 제왕 10회-정려원과 김명민의 카리스마 표절시비 앞에 마주하다 드라마 한 편이 만들어지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지를 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순히 드라마 제작과정의 문제만이 아니라, 그 안에 사회적 문제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위기 상황의 반복과 이를 이겨내는 과정이 식상함으로 다가올 수도 있겠지만 김명민이 보이는 카리스마는 대단했습니다. 표절시비에 빠진 정려원과 위기에서 빛난 김명민의 카리스마 겐지가 요구한 시한은 다가오고 있지만 기대만큼 위기 극복은 쉽지가 않았습니다. 제국회장의 압박과 오직 돈만 밝히는 겐지로 인해 최악의 상황에 처한 앤서니는 기지를 발휘해 극적인 변화를 만들어냈습니다. 제국회장의 한 마디와 성민아로 인해 반격의 가능성을 얻게 된 앤서니의 반격은 강력했습니다. 한류의 중심을 이루는 한류 타운 프로젝트를 기억하고 이를 실.. 2012. 12. 5.
드라마의 제왕 8회-승자독식사회 해법을 제시한 권해효의 발언이 압권이었다 현대 사회는 잔인한 승자독식 사회입니다. 최종 승자가 모든 것을 차지하는 상황에서 수많은 희생자들은 사회적 낙인이 찍힌 채 살아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이런 지독한 사회적 구조는 문제가 많을 수밖에는 없습니다. 스포츠 세계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이 승자독식은 연예계에서도 유감없이 보여 지는 잔인한 방식이기도 합니다. 승자독식 사회에서 다양성을 이야기하는 권해효가 답이다 러브 라인 없이 진행되던 은 7회 성민아가 등장하면서 급격하게 앤서니를 사이에 둔 이고은과 성민아의 삼각관계 구도가 잡히기 시작했습니다. 인간 사회에서 사랑은 필연적인 관계라는 점에서 드라마에서 사랑이 빠진다는 것은 무미건조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러브 라인은 반갑습니다. 최고 주가를 올리는 여배우 성민아를 원하는 감독으로 인해 그.. 2012. 11. 28.
드라마의 제왕 5회-정려원 분노케한 김명민의 감수작가 투입이 흥미로운 이유 드라마 제작에 대한 방송국과 외주제작사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은 분명 흥미로운 드라마입니다. 드라마 왕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수많은 드라마들이 매일 방송이 되는 대한민국에서 이 드라마가 어떻게 만들어져 시청자들에게 전달되는지 보여주는 이 드라마는 그래서 흥미로웠습니다. 본격적인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감수 작가는 그래서 더욱 흥미로웠습니다. 갈등 구조의 구축과 드라마 작가와 시청률 지상주의를 논하다 최악의 상황에 떨어진 앤서니가 극적으로 기사회생해 새로운 도약을 하게 되는 과정은 흥미롭습니다. 앤서니가 좋은가 나쁜가를 떠나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는 모습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으니 말입니다. 법적인 문제가 없는 한 최대한 노력하는 모습 속에 어떻게든 살아야 한다는 절박함이 존재하기 때문.. 2012. 11. 20.
드라마의 제왕 4회- 신의와 최희라 논란을 떠올리게 하는 제작환경을 꼬집다 드라마 제작기를 다루고 있는 은 분명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김명민이라는 연기자가 출연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운 이 작품은 드라마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정면에서 들여다보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게 다가옵니다. 4회에서는 잘못된 제작관행과 드라마 작가의 애환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었습니다. 신의 논란과 최희라 발언을 그대로 담아낸 드라마의 제왕 드라마 제작에 들어가는 비용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사실은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고 성공 시 떨어지는 결과물이 거대하다는 의미입니다. 출연하는 배우에게 거액의 돈이 들어가고 이를 통해 판을 키우는 제작 환경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은 그래서 흥미롭기만 합니다. 신의, 출연료도 지급하지 못하는 환경을 꼬집다 바로 전에 방송되었던 는 방송이 끝난 후에도 논란이 지속되고 있.. 2012.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