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roadcast 방송이야기/Variety 버라이어티1326 무도 WM7 논란은 피디수첩 무마용? 김남훈 UFC 해설자가 자신의 트위터에 노골적으로 무한도전의 레슬링 특집을 비하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예상됩니다. 너무 극단적인 주장으로 사실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그가 무엇을 위해 그런 글을 올렸는지도 모호한 상황입니다. 그는 왜 무도 WM7 대회 날 논란을 만들었을까? 1년을 고생해서 관객들 앞에서 레슬링 대회를 개최하는 무한도전의 WM7 대회가 열리는 날, 격투기 해설가가 자신의 트위터에 성추행범과 다름없는 무한도전의 행태를 비난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가 주장한 것처럼 무도 레슬링 편에 출연했던 윤강철 선수가 챔피언 박탈 위기에 처했다는 것과는 달리 협회에서는 '사실무근'이라고 즉각 입장을 밝히면서 누구의 주장이 맞는지 혼란스럽습니다. "'무한도전'의 꾐에 속아 '벌.. 2010. 8. 20. 도전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웠던 남격 직장인 밴드 1년을 훌쩍 넘긴 남자의 자격의 도전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밴드에 대한 그들의 도전은 그저 장난처럼 시작되었지만 그 과정은 한없이 고되고 힘겨움의 연속이었습니다. 다루지도 못하는 악기를 배우며 조금씩 진행해 가던 그들의 도전은 점점 거대해지며 결국 직장인 밴드대회 출전까지 이어졌습니다. 그 유쾌한 도전은 즐거움이라는 이름으로 아름다웠다 시작부터 고난이었던 그들의 도전은 본선 전날까지도 지속되었습니다. 참가 팀들이 늘어나면서 예선전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 그들은 두려운 도전에서 기분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쉽지는 않았지만 오랜 시간 함께 하면서 틈틈이 만들어냈던 그들의 연주는 본선행이라는 값진 열매를 주었습니다. 예선을 치르고 연습을 하던 그들은 다시 한 번 위기를 맞이합니다. 1년을 넘게 해오.. 2010. 8. 16. 진가보인 강호동, 토끼와 거북이로 1박2일 되살렸다 파업의 여파로 피디가 빠진 상황에서 위기를 맞이했던 이 오랜만에 본연의 재미를 찾았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우화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가 되어버린 그들의 한 여름 레이스는 그래서 의미있고 재미있었습니다. 우화를 통해 색다른 의미를 발견하다 1. 토끼와 거북이 경주가 된 3:3 레이스 한 동안 침체되었던 이 기지개를 펴는 듯합니다. 여름이면 통과의례처럼 겪어야 하는 그들의 여름 나기는 오프로드의 재미로 시작했습니다. 자연을 품고 자연 속으로 한 없이 들어서는 그들의 모습은 보는 이들을 시원하게 해주었습니다. 자연을 그대로 받아 MTB나 산책으로 진행해도 좋았겠지만, 오프로드의 재미는 길이 없는 곳을 거침없이 가르며 자연과 함께 되는 그들의 모습만으로도 충분히 시원했던 오후였습니다. 거친 산길을 올.. 2010. 8. 16. 무한도전 하하보다 길이 더 문제다 무한도전이 보여주는 장기 프로젝트는 진행하면 할수록 예능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곤 합니다. 1년을 넘게 준비한 레슬링은 공개적인 대회를 얼마 안 남기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 자체는 의미를 더해가며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정체된 멤버의 한계는 골치 꺼리로 다가옵니다. 밉상 하하보다 무능한 길이 더 문제다 하하는 깐죽거림과 타인을 비난하는 캐릭터로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얄밉기는 하지만 나름의 원칙을 가지고 형들에게 대드는 그의 모습이 한때는 귀엽게 바라볼 수도 있었지만 다시 돌아온 하하에게서는 귀여움은 사라지고 얄미운 캐릭터만 진화하지 못한 채 그대로 이어져 아쉽기만 합니다. 복귀와 함께 여러 버라이어티에 집중적으로 소개되며 더욱 발전하지 못한 그의 재능을 일거에 소진하는 느낌.. 2010. 8. 15. 무릎팍 도사, 서경덕의 등장이 특별했던 이유 이번 주 에는 연예인이 아닌 한국 홍보 전문가인 서경덕이 출연했습니다. 광복 65주년을 맞이하는 2010년 역사를 되돌리는 현실과 역사 교육을 바닥에 던져버린 교육계, 친일을 찬양하고 친일 자손이 땅을 돌려달라고 외치는 작금의 상황에 서경덕이라는 존재는 그래서 특별할 수밖에는 없었습니다. 보다 넓고 깊게 세상을 바라보는 힘 서경덕이라는 인물은 뉴욕 타임즈에 독도 광고를 실으며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인물입니다. 하지만 무릎팍 도사에 나온 그는 이미 오래전부터 대한민국을 널리 알리는 일에 최선을 다했던 특별한 존재였었습니다. 15년 전 파리 에펠탑에서 시작된 판을 좀 더 크게 벌려도 좋겠냐는 그의 고민 상담은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을 수밖에는 없었습니다. 2005년 뉴욕 타임즈에 '독도는 한국 땅'이라.. 2010. 8. 12. 남격 직장인 밴드, 도전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웠다 말도 안 되는 도전을 하는 이들이 무한도전에만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남자의 자격 멤버들은 연주하는 방법들을 일일이 배워가며 고생한 끝에 드디어 직장인 밴드 대회에 출전했습니다. 도전이 아름다운 것은 결과와 상관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것들에 최선을 다했기 때문입니다. 할마에와 함께 한 그들의 도전은 아름다웠다 김태원이야 우리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음악인 중 하나이기에 언급할 필요조차도 없습니다. 앨범 발매도 했었던 윤형빈이 가장 든든한 자원이었다면 다른 멤버들은 그야 말로 기초라고 해도 좋을 정도였습니다. 보컬을 맡은 김성민은 이것저것 가능은 하나 모든 것들이 기대를 충족시킬 수 없어 무용지물에 가까웠지요. 코드 잡는 법도 몰랐던 이들이 코드가 무엇인지 알게 되고, 드럼 스틱도 제대로 잡지 못했던 이윤석.. 2010. 8. 9. 이전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221 다음 반응형